정부 전산망이 1주일 사이 4번이나 접속 장애를 일으켰습니다. <br /> <br />행정안전부가 곧 장애 원인과 향후 대책에 대한 긴급 브리핑을 엽니다. <br /> <br />현장 연결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[고기동 / 행정안전부 차관] <br />공동팀장을 맡은 행정안전부 차관 고기동입니다. <br /> <br />우선 지난 17일 금요일 지방행정전산서비스 장애로 인해 불편을 겪으신 국민께 다시 한 번 깊은 사과의 말씀 드립니다. <br /> <br />오늘 이 자리에서는 먼저 송상효 공동팀장님이 장애의 원인에 대해 국민께 소상히 설명드리고 이어서 제가 향후 재발방지 종합대책의 수립방향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[송상효 / 지방행정전산 개편 TF 공동팀장] <br /> <br />안녕하십니까. 지방행정전산서비스 개편 TF의 공동팀장을 맡고 있는 숭실대학교 송상효 교수입니다. <br /> <br />먼저 원인분석반 구성 및 활동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원인분석반은 총 29명으로 구성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LG CNS, 네이버 클라우드, 소울시스템즈등 외부전문가 16명과 국가정보자원관리원통신·운영·보안 부서 소속 인력 13명으로구성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외부전문가 중 11명은 장애발생 초기부터 복구에 참여한 인력들로 구성함으로써 업무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원인분석에서 한 가지 아쉬웠던 것은장애 발생일 이후 이번 원인분석 결과를발표하기까지 기간이 국민께서 생각하시는 시간보다 오래 걸렸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장애가 가지는 사안의 중요성, 그리고 관련 시스템의 복잡성을 감안했을 때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었고 충분한 검증을 통해 신중하게 결과를 설명할 필요가 있었다는 점을 양해 부탁드립니다. <br /> <br />원인분석 경과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먼저, 장애 당시 남겨진 로그를 분석한결과, 장애의 원인은 네트워크 영역에서 발생하였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왜냐하면 비정상 상태가 통합검증서버의네트워크 세션에서 확인되고, 네트워크 장비 중 하나인 L4 장비의 OS 업데이트가 전일 있었으며, L4 장비에서 비정상 상태로전환되는 로그가 다수 반복되는 것이확인되었기 때문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더불어 네트워크 영역에서 문제가나타났다 하더라도 앞뒤로 연결된 장비나 시스템이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기 때문에 원인분석반은 네트워크 장비뿐 아니라 서버 로그까지 분석 대상에 포함시켰으며 이로 충분한 검토와 테스트를 진행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112515294669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